개요
-
기업활동 전반에서 기후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환경경영을 실천해나가고 있습니다.
‘Creating Green Value’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실행 전략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.
환경경영 전략
-
- 환경경영기반
조성
- 환경경영기반 조성
-
- 온실가스 감축 노력
- 에너지절감 캠페인
-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
- 환경교육 시행
-
- 환경프로세스
고도화
- 환경프로세스 고도화
-
- 온실가스 모니터링 강화
- 효율적 에너지 운용
-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적극 참여
- 환경개선 사례 KPI 연계
-
- 환경경영 평가체계
도입 및 운영
-
- 환경에너지통합시스템(LETS)
- 기반의 환경경영 계획수립
및 이행점검 강화
환경경영 프로세스
PDCA 방법론 적용
환경경영
프로세스
- PLAN
-
환경경영 운영 계획 수립
· 목표수립(온실가스,에너지,용수,폐기물)
- ACTION
-
개선(조치)활동
· 실적 만회
· 이슈 관리
- DO
-
환경경영 활동
· 에너지, 용수, 폐기물 사용
· 온실가스관리
- CHECK
-
환경경영 활동 분석
· 실적 관리/이슈 도출
조직구성
CEO
노준형 대표이사
- · 환경경영 총괄
- · 환경성과 관리 및 개선사항 검토
환경경영팀
엄성일 팀장, 장혜지 선임, 박현수 선임
- · 환경경영 전담부서
- · 환경에너지통합시스템관리
- · 환경경영 연간계획 및 평가지표 수립
- · 모니터링 및 성과평가
- · 환경 관련 이슈 대응 및 조정
전략기획팀
이환희 팀장, 김민희 선임
- · 탄소경영 투자 총괄 관리 및 검토
- · 배출권 매매 진행
퍼실리티팀
김정헌 팀장, 김진혁 선임
- · 시설 운영 관리
- · 에너지 관리 (전력)
- · 용수 관리
업무지원팀
왕경종 팀장, 박성우 선임
- · 에너지 관리 (LNG, 차량)
- · 폐기물 관리
IDC사업팀
이광주 팀장, 윤종용 책임
- ·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
- · (연간계획 수립, 실적관리 및 모니터링 등)
인증 및 캠페인
-
인증내역
-
- ISO50001 국제 표준 에너지 경영시스템 인증 획득
- · 2014년 2월 ISO50001 최초 인증 획득
- · 2017년 2월 갱신 심사 완료 및 자격 유지(~2020년)
- · 2021년 1월 전환 심사 완료 및 자격 유지(~2023년)
- · 2022년 1월 사후 심사 완료 및 자격 유지(~2023년)
-
- ISO14001 국제 표준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획득
- · 2022년 9월 ISO14001 최초 인증 획득
-
- 환경부장관 표창 임직원 수상
- · 환경보전/환경정보 공개
- · 2019년 환경부장관 표창 수상
-
임직원 대상 교육 및 캠페인
-
‘21년 상반기 환경경영 세미나 수료증
-
‘21년 하반기 환경경영 세미나 수료증
실적 및 실행계획
롯데정보통신은 탄소배출권 저감,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등 지속가능한 환경경영을 실천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
서울, 용인, 대전 사업장은 데이터센터 친환경 설계, 인프라설비 운전 효율화, LED 조명교체, 전기차 도입 등 탄소저감 활동을 시행합니다.
또한 연간 환경경영 목표를 수립하고, 에너지 절감활동을 수행하고 이를 이행점검 하는 절차로 환경에너지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.
-
‘21년 폐기물 관리
2021년 폐기물 관리
구분 |
서울 |
용인 |
대전 |
합계 |
‘21년 목표 |
143.41 ton |
37.84 ton |
6.36 ton |
187.61 ton |
‘21년 실적 |
132.97 ton |
36.05 ton |
5.04 ton |
174.06 ton |
운영사항 |
재활용량 증가로 인한 목표대비 7.3% 감축 (서울 구관 폐기물량 포함) |
목표대비 4.7% 감축 |
목표대비 20.8% 감축 |
연간 목표대비 7.2% 감축 |
-
‘22년 폐기물 관리
2021년 폐기물 관리
구분 |
서울 |
용인 |
대전 |
합계 |
‘22년 목표 |
145.80 ton |
40.20 ton |
5.64 ton |
191.64 ton |
운영사항 |
전사 폐기물 절감 캠페인 추진(일회용컵 사용 줄이기 等), 재활용 분류 강화 예정 |
-
‘21년 용수 관리
2021년 용수 관리
구분 |
서울 |
서울_구관 |
용인 |
대전 |
합계 |
‘21년 목표 |
27,903 ton |
17,144 ton |
55,547 ton |
3,224 ton |
103,818 ton |
‘21년 실적 |
31,527 ton |
15,874 ton |
51,138 ton |
2,593 ton |
101,132 ton |
운영사항 |
신규 도입 항온항습기 냉각탑 사용량 증가로 인해 목표대비 13% 실적 초과 |
목표대비 7.4% 감축 |
목표대비 7.9% 감축 |
항온항습기 실외기 살수설비 효율 운전으로 목표대비 19.6% 감축 |
연간 목표대비 2.6% 감축 |
-
‘22년 용수 관리
2021년 용수 관리
구분 |
서울 |
서울_구관 |
용인 |
대전 |
합계 |
‘22년 목표 |
33,634 ton |
15,580 ton |
60,459 ton |
4,709 ton |
114,382 ton |
운영사항 |
실외기 살수설비 외기온도 상향 조정, 프리쿨링 냉각탑 수조 물 드레인 및 Fan 가동, 프리쿨링 냉각탑 수조 순환수 교체 주기 변경, 우수 재활용 확대 等 |
-
‘21년 데이터센터 에너지 절감실적
2021년 데이터센터 에너지 절감실적
구분 |
서울 |
용인 |
합계 |
감축활동 |
항온항습기 프리쿨링 도입 |
용인 LED 교체 |
|
에너지절감량 |
2,937,542kWh |
185,362kWh |
3,122,904kWh |
전력단가 |
102.642원 |
110.104원 |
|
에너지절감액 |
298백만원 |
20백만원 |
318백만원 |
온실가스 감축실적 |
1,350톤 |
85톤 |
1,435톤 |
-
주요 환경경영활동 투자계획 및 실적
주요 환경경영활동 투자계획 및 실적
구분 |
사업장 |
계획 |
투자계획 |
환경경영활동 |
환경적 효과 |
이행여부 |
2020년 |
용인 |
항온항습기 고효율팬 교체 |
2월~4월 |
항온항습기 송풍 FAN 속도관리 및 가변 FAN 도입 |
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|
O |
일반조명 LED교체 |
8월~12월 |
일반조명의 LED 조명 교체 |
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|
O |
서울 |
항온항습기 프리쿨링 도입 |
7월~12월 |
공냉식과 수냉식 냉방 통합운영기술 적용을 통한 압축기 가동전력 절감 |
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|
O |
저NOx 보일러 교체 |
8월 |
보일러에 저NOx 버너 도입 |
NOx 배출량 감소 |
O |
2021년 |
대전 |
항온항습기 프리쿨링 도입 |
1월~4월 |
공냉식과 수냉식 냉방 통합운영기술 |
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|
O |
용인 |
1월~12월 |
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|
O |
서울 |
전기차 충전 인프라 도입 |
12월 |
전기차 완속 충전 인프라 도입 |
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|
O |
2022년 |
서울 |
전기차 충전 인프라 도입 |
1월 |
전기차 급속 충전 인프라 도입 |
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|
O |
전기차 도입 |
내연기관 차량 대체 전기차 5대 도입 |
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|
O |
용인 |
항온항습기 노후교체 |
9월 |
항온항습기 노후설비 에너지 효율 개선 |
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|
X |
항온항습기 프리쿨링 도입 |
10월 |
공냉식과 수냉식 냉방 통합운영기술 적용 통한 압축기 가동전력 절감 |
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|
X |
-
감축활동 산정방법
감축활동 산정방법
구분 |
감축활동 내용 |
감축활동 설명 |
산정방법 설명 |
서울 |
외기개선 |
UPS실 냉방운전 변경 항온항습기 → 외기 |
해당시설 (UPS실 항온항습기 8대) 대상 외기개선 도입 전후 전력사용량 비교분석 |
프리쿨링 설치 |
겨울철 운전방식 변경 공냉식 → 수냉식 |
해당시설 전체 항온항습기 65대) 대상 프리쿨링 도입 전후 전력사용량 비교분석 |
전기차 도입 |
내연기관 차 → 전기차
| 해당차량 (전기차 5대) 대상 전기차 도입 전후 연료 사용량(휘발유) 비교분석 |
용인 |
조명교체 |
일반조명 → LED 조명 |
해당시설 (건축물_기존시설) 대상 LED조명 도입 전후 전력사용량 비교분석 |
항온항습기 EC-Fan 도입 |
일반 Fan → 고효율 Fan |
해당시설 (전산실 항온항습기) 대상 EC-Fan 교체 전후 전력사용량 비교분석 |
노후 설비 교체 |
노후 설비→ 신규 설비 |
해당시설 (전산실 항온항습기) 대상 항온항습기 교체 전후 전력사용량 비교 분석 |